AI 시대의 변혁과 인간의 역할 변화

2025년도 이제 100일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서점가에서는 새해를 준비하는 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AI)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송길영 작가와 김난도 교수의 견해를 통해 AI 시대의 변화와 인간의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경량 문명과 개인의 힘

AI 기술의 발전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송길영 작가는 '경량 문명'의 시대가 열렸다고 주장하며, 개인이 AI를 통해 조직보다 더 민첩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경량 문명은 관리자의 역할을 감소시키고, 각 개체가 자신의 관리자가 되는 환경을 만들어갑니다. 즉, 관리하는 대상은 AI가 되어,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가 펼쳐질 것입니다. 하지만 AI의 득과 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AI가 여러 가지 수고로운 작업을 덜어줄 수 있지만, 그로 인해 기업의 고용 총량이 줄어드는 현상도 예상됩니다. 따라서 개인과 조직은 빠른 전환력을 갖추어야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개인의 주도성과 AI와의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질지가 향후 사회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AI 시대의 인간 고유의 능력

김난도 교수는 2026년 '말의 해'를 맞아, 그리스로마 신화 속 반인반마 '켄타우로스'를 소개하며 인간과 AI의 합일을 상징적으로 제시합니다. 인간이 다루고 있는 복잡한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 인간 고유의 능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AI가 아무리 강력하고 빠르더라도, 진정한 승자는 기계의 능력을 초월하는 인간의 사고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즉, AI 시대의 진정한 발전은 인간의 질문하는 힘에 의해 이루어질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소비와 일상생활에서 인간의 본성이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질 것이라는 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AI로 인해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이 지켜야 할 고유의 가치와 능력을 지속적으로 재발견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AI와의 공생을 위한 태도 변화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AI가 변화의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이에 송길영 작가는 AI와의 공생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를 말하며, 그 과정에서 개인의 노력과 태도 변화가 필수적이라고 언급합니다. AI와 상생하기 위해서는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특히 감정과 같은 인간 고유의 특성이 AI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김난도 교수는 이러한 감정이 AI적이지 않은 인간적인 요소로서, 인간관계와 소비 행위 속에서 여전히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역할과 능력도 진화해야 한다는 점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AI의 발전은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송길영 작가와 김난도 교수의 의견은 AI 시대에 개인과 조직이 어떻게 변모하고, 함께 공생할지를 고민해볼 힌트를 제공합니다. 이제 우리는 AI와 어떻게 연관되어 살아가야 할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에 있습니다.